경제이야기/경제기록

2025년 개미들의 선택을 받을 금융상품은? (2024년을 통해 알아볼 금융 소비 전망)

The Dilettante 2025. 1. 13.

벌써 2025년

새해가 밝았다
2024년도 빠르게 저물고 새해가 밝았습니다

 

다사다난했던 2024년이 끝이 나고 2025년이 밝았습니다. 기대했던 산타랠리는 올 듯한 신호를 주다가 결국 횡보로 끝났고, 오히려 연말부터 연준의 매파적인 발언을 시작으로 다시금 긴축 분위기가 시장 내 형성되고 있는데요.

 

현재 잠잠한 시장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2025년 금융시장에는 여전히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되고 글로벌 금융 상품 접근성 개선으로 투자 환경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저축 중심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투자 자산 비중을 확대하려는 소비자 경향이 뚜렷해지며, 금융사 역시 이에 맞춘 전략 수립이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죠.  

하나금융연구소 보고서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에서 2024년 한 해 저희와 같은 금융소비자들은 어떤 상품 선호와 성격을 나타냈는지 정리하며 2025년 전망을 공유했는데, 한번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금융연구소

’24년, 금융소비자는 금리인하 기대와 투자 접근성 개선 등으로 금융자산 중 투자상품의 비중을 늘렸으며, ’25년에도 이와 같은 투자 의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불안정한 금융 상황을

www.hanaif.re.kr

투자상품 선호와 다변화된 포트폴리오

2024년 금융 소비자들은 저축자산 비중을 줄이고 투자자산 비중을 30%까지 늘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안정성과 절세를 고려한 ISA(종합자산관리계좌) ETF(상장지수펀드)와 같은 상품의 인기가 높았는데요. 이는 고위험보다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화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다양한 상품을 편입하며 절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ISA는 인기 상품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소비자 선호도가 2.6배 이상 높아졌죠. 그리고 ETF의 경우 국내외 인덱스를 추종하며 실시간 매매 또한 가능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투자 수단으로 각광받았습니다.

 

실재 국내 공모펀드 시장에서 ETF 시장으로 자금이동이 확산하면서 이른바 8 ETF 자산운용사에 속하지 않은 소형 자산운용사들도 올해 ETF 출시를 지난해 대비 70% 이상 늘렸다고 합니다. 이 추세는 2025년에도 지속될 텐데 수많은 금융 상품들이 쏟아지는 흐름 속에서 옥석 가리기가 중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2024년 출시 ETF 리스트
소규모 자산운용사도 ETF출시 러시에 합류

해외 금융상품의 확대

국내 주식보다 해외 주식과 외화예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해외 주식 거래 의향이 국내 주식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평균 투자액은 소수점 단위 거래와 앱 내 접근성 개선으로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또한 외화예금은 환차익과 여행자금 등 목적형 저축으로 주목받으며 세대별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분화된 상품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속 성장중인 해외 금융상품 투자액

 

실제로 해외 금융상품 투자액은 2022년 잠시 주춤한 것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늘어 왔는데요, 환율이 1470원대로 오르며 환차손 리스크가 커졌음에도 국내 주식 시장의 실망스러운 행보로 해외, 더 정확히는 미국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더 많아질 것 같네요. 다양한 투자자 니즈를 만족시키는 상품이 2025년에는 추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장 선호 밈
2024년에는 맞는 말...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도 더 증가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2024년 한해에는 비트코인을 필두로 가상화폐 시장이 호황을 보였고, 많은 자금이 전통적인 주식 시장에서 가상화폐 시장으로 이동하기도 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가상화폐 투자를 제도권 범위로 갖고 오려는 현물 코인 ETF등도 줄줄이 출시되기도 했었죠. 특히 올해에는 비트코인 반감기 진입으로 인한 상승,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그리고 비트코인에 이어 이더리움까지 현물 ETF 승인 심사가 줄줄이 이어지며 코인 투자자에게는 아주 좋은 한 해였습니다.

2024년 이더리움 현물 ETF 심사 일정
2024년 이더리움 현물 ETF 심사 일정

 

비록 개인투자자의 평균 디지털 자산 투자 비중은 전체 자산의 5% 남짓 비중으로 집계되지만, 2025년에는 2024년 대비 이 비중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금융사들은 이를 고려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합니다.

결론: 균형 잡힌 투자 지원의 중요성

금융사들은 소비자들의 변화하는 투자 트렌드에 발맞춰 통합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2025년은 금융소비자의 투자 행태가 보다 적극적이고 다각화될 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금융사는 안정적이고 수익성 높은 상품 개발과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해야 하고, 소비자는 또 현명한 선택을 통해 잃지 않는 투자를 추구하며 금융사 간 상호 이익을 도모해야겠죠. 금융상품 출시 방향성을 염두에 두면서 2025년에 유망할 상품들을 미리 점찍고 자산 증식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연초에 정비하는 것도 뜻깊은 활동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