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주식일기

엔비디아 2023년 실적발표 (어닝스콜) 주요 내용 요약 및 향후 주가 전망

The Dilettante 2024. 3. 4.

엔비디아 로고
무섭게 상승하는 엔비디아

엔비디아의 상승세

엔비디아의 주가가 이제는 무서울 정도로 높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초 이후 주가가 441% 폭등하며 시가총액이1조 5000억 달러가 급증했습니다. 지난 222일 실적 발표 직전 기대감 대비 낮은 실적으로 인한 하락을 두려워한 투자자들의 매도 및 차익 실현으로 인해 소폭 하락했습니다만, 실적 발표는 시장 기대감을 충족시켜 주었죠. 주가는 바로 회복했고 추가 상승세를 타고 다시 역대 고점을 돌파했습니다.

3월1일 엔비디아 종가: 822.79달러
3월 1일 종가: 822.79 달러

 

어쨌든 2023년도의 성적표가 나온 지금, 엔비디아의 2023Q4 실적 발표 내용을 되짚어보며 향후 엔비디아의 제품 전략과 성장성을 엿보도록 하겠습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Q4 Earnings Call)

지난 222(한국시간 기준)의 Q4 Earnings Call의 전문은 하기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seekingalpha.com/article/4672199-nvidia-corporation-nvda-q4-2024-earnings-call-transcript

 

실적 발표 내용 요약

먼저 다양한 엔비디아 연사들이 참여한 실적 발표의 주요 내용을 주제별로 요약해 봤습니다.

기록적인 재무 실적

4분기 매출은 221억 달러로, 분기 대비 22%, 전년 동기 대비 265% 증가했으며, 이는 200억 달러의 전망을 상회하는 기록적인 분기였습니다. FY2023-2024 회계연도의 총매출은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6% 증가했습니다.

데이터센터향 매출의 폭발적인 성장

데이터 센터 매출은 2024 회계연도에 475억 달러로 전년 대비 세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NVIDIA Hopper GPU 컴퓨팅 플랫폼과 InfiniBand 엔드투엔드 네트워킹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컴퓨트 매출은 5배 이상, 네트워킹 매출은 전년 대비 세 배 증가했습니다.

 

4분기 데이터 센터 매출은 184억 달러로 기록되어, 분기 대비 27%, 전년 동기 대비 409% 증가했습니다. 이는 다양한 산업, 사용 사례 및 지역에 걸쳐 생성 AI 및 대규모 언어 모델의 교육 및 추론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Comment:
AI 산업의 붐이 실감되며 데이터센터향 반도체의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엔비디아 현재 경쟁사 대비 독점적인 기술 우위를 보유하고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주가 상승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게이밍 그래픽카드 부문의 견고한 실적

게이밍 매출은 28.7억 달러로 분기 대비 큰 변동이 없으나, 전년 대비로 보면 56% 증가했습니다. 회계연도 매출은 104.5억 달러로 15% 증가했습니다. CES에서 발표된 GeForce RTX 40 Super Series GPU는 판매가 좋은 출발을 보였습니다.

Comment:
과거 그래픽카드 명가답게 엔비디아는 개인용 PC 시장 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좋은 그래픽카드 상품을 출시하면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워낙 데이터센터향 반도체의 실적이 압도적이다 보니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한 사업부문의 연매출이 15% 증가한다는 것도 엄청난 실적이긴 하죠. 주력 두 개 사업에서 순풍이 불어오고 있는 모습을 확인 가능합니다.

특히 곧 다가오는 비트코인 반감기인 4월에 맞추어 암호화폐 시장 호황이 본격화되고, 다시금 채굴 열기가 활성화된다면, 게이밍 그래픽카드 매출 또한 급격하게 상승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모로 다양한 사업 부문 내에 호재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Q&A 요약

준비된 실적 발표가 마무리된 후 젠슨황 및 주요 경영진들은 기자들과 Q&A세션을 가졌는데요. 여기서 나온 내용들을 요약하겠습니다.

AI수요와 산업 동향

엔비디아의 수장 젠슨 황은 AI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에 대한 확신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AI가 다양한 산업에 변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강조하며,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AI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죠.

Comment: 
현재 AI 반도체의 수급 불균형과 관련해서는 엔비디아의 경영진이 반도체 공급 부족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현재 엔비디아 A100 등 하이엔드 데이터센터 가속기의 리드타임은 약 6개월 정도 되는데, 수요와 공급을 균형 있게 관리하며 재고 수준을 과도하게 늘리지 않으려고 한다고 덧붙였죠. 일단 공급 부족에는 빠르게 대응하나 지속적으로 수요 대비는 부족한 상황을 만들어가며 자신들의 제품 가치를 높이고 잠재적인 재고 이슈를 예방하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없어서 못 파는 현재 상황을 굳이 바꾸고 싶지는 않겠죠. 

경쟁 및 시장점유율

경쟁 및 NVIDIA의 시장 위치에 대한 질문에 대해, Huang NVIDIA의 포괄적인 생태계와 진보된 기술 스택이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툴,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NVIDIA의 시장 리더십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Comment:
실제 CUDA 생태계를 통해 GPGPU (General Purpose GPU)로 AI반도체 시장 우위를 장악한 엔비디아는 아직까지도 AI 모델 개발 및 구동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후발 AI반도체 개발사들 또한 자사 제품들의 소프트웨어 스택을 엔비디아 CUDA의 생태계에 호환 가능하도록 제작하고 있습니다. 즉, AI 모델 및 구동 인프라의 표준을 제시하는 회사가 엔비디아라는 것이고, 아직은 그 산업 내 영향력을 공고히 유지하고 있다는 셈입니다.

미래 제품 로드맵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NVIDIA AI, 게임, 전문 시각화 시장의 성장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된 지속적인 혁신과 새로운 제품 출시를 암시했습니다.

Comment:
H100을 이을 신제품 B100 가속기가 올해 4월에 발표 예정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딱히 금번 어닝스 콜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습니다. 다만 H100/H200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는 가운데 차세대 제품인 B100 출시를 실적 발표 내에서 언급하기는 과하다고 판단했던 것 같습니다.

엔비디아 AI 가속기 로드맵
올해 B100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신규 시장으로의 확장

NVIDIA는 건강 관리, 자동차, 로봇공학과 같은 분야에서 AI가 상당한 발전과 효율성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과 응용 프로그램으로 AI 기술을 확장할 기회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Comment:
실제 엔비디아 가속기는 자율주행 모델 구동에 있어서도 탁월한 성능을 자랑하며 상당한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향후 주목받는 AI 모델의 범위가 LLM 이상으로 확대되어 LLM만큼의 시장이 형성되게 될 경우 또다시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마무리

빅테크가 주도하는 나스닥 지수의 연이은 상승으로 시장 내에는 고밸류에이션으로 인한 버블 우려도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가파르게 상승한 엔비디아의 주가로 인한 불안감보다는 앞으로 엔비디아가 시장 내에서 맞이할 강력한 호재들이 더 눈에 띄는 것이 사실인데요. 돛단배가 순풍을 거스를 수 없듯이, AI 산업이라는 큰 바람 속에서 얼마나 큰 수혜를 받아볼 수 있을지 엔비디아의 향후 전망이 주목됩니다. 시장을 장악하는 기술력과 또 이를 뒷받침하는 실적을 보유한 회사이니만큼, 산업 내 회사의 동향을 계속 지켜봐야겠지요.

반응형

댓글

💲 추천 글